OS - Deadlocks

1 minute read

프로세스는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자원을 필요로 하는데, 한정된 자원을 때문에 프로세스가 진행되지 못하고 무한정 대기하게 되는 교착상태가 발생하기도 한다.

  1. A 프로세스가 a 자원을 가진 상태에서 b자원을 위해 대기를 하는 중이고
  2. B 프로세스는 b 자원을 가지고 a 자원 대기 중이라면
  3. 교착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자원

자원은 요청(request) -> 사용(use) -> 반납(release)의 과정으로 사용된다. 이는 자원할당도 (Resource Allocation Graph)로 표현할 수 있는데, 할당도에 원이 만들어지면 교착 상태의 필요조건 하나가 충족된다.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동일 형식 자원이 여러개 있을 수 있다. (CPU 2개, 프린터 3개 등)

교착상태 필요조건

모두 충족해야 한다. (필요조건이니까)

  • mutual exclusion: 프로세스간 자원을 공유할 수 없다
  • hold and wait: 프로세스가 자원을 보유하고 그 상태로 대기
  • no preemption: 들고 있는 자원을 뺏을 수 없다
  • circular wait: 프로세스들이 환형으로 대기 (A -> B -> C -> A )

교착상태 처리

교착상태를 처리하기 위해서 4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방지, 회피, 검출 및 복구, 무시)

교착상태 방지

4가지 필요조건 중 한가지만 불만족 시키면 된다.

  • mutual exclusion: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읽기만 하는 파일 정도?)
  • hold and wait: 프로세스가 자원을 가지고 다른 자원을 기다리지 않도록 한다. 즉, 강제로 자원을 release하게 한다. 하지만 자원 활용률이 저하되고 starvation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starvation: 자원 할당 문제로 영원히 완료되지 못함)
  • no preemption: 일반적으로는 불가능하다.
  • circular wait: 자원에 번호를 부여하고, 오름차순으로만 자원을 요청하도록 한다. 자원 활용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교착상태 회피

교착상태를 자원 요청에 대한 잘못된 승인으로 인식한다. 현재 요구하는 자원뿐만 아니라 프로세스가 최대로 요구하는 자원을 고려하여 할당한다 (safe allocation) bank run에 대비한 준비금 정도로 이해할 수 있을 듯 하다- Banker’s Algorithm

교착상태 검출 및 복구

교착 상태가 일어나는 것을 원칙적으로 허용한다. 이후 주기적 검사를 통해 교착상태가 발견되면 그 부분에 대해 복구한다. 복구는 프로세스를 일부 강제 종료하거나 자원을 강제로 선점하여(뺏어서) 일부 프로세스에 할당한다. 검출 과정의 계산 및 메모리 부담(overhead)이 발생할 수 있다.

교착상태 무시

교착 상태는 실제로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그냥 무시한다. 방지, 회피, 검출처럼 다른 처리를 위해 성능을 떨어뜨리는 일을 하지 않는다. 오류나면? reboot

Tags:

Updated: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