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어 처리 - 한국어 띄어쓰기

3 minute read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는 데이터 사이언스의 큰 난관이자 유망주? 중 하나인데, 영어에 비해 한국어 분석은 특유의 구조적 문제와 더불어(받침의 존재, 다양한 신조어: 멍멍이-댕댕이, 잁럻겛 쓿멶 핞굵 삻람많 읽읅 숡 있읆 등) 관련 연구(가져다 쓸 수 있는)의 양이 적기 때문에 난이도가 더욱 상승하게 된다.

게다가 웹 상의 데이터(또한 분석해야 할 데이터)는 오타, 특유의 말투, 무지 등의 이유로 인해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지키지 않은 데이터가 대부분이다. garbage in, garbage out이란 말이 있듯이, 더 좋은 분석을 위해서는 선제적인 데이터 정제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띄어쓰기 오류를 수정하는 모델의 접근 방법 중 하나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한국어 띄어쓰기 모델 (Korean word spacing model)

문제

  • (띄어쓰기가) 올바른 문장과 틀린 문장이 섞여 있음
  • 틀린 문장의 비율이 훨씬 많음(으로 예상됨)
  • 띄어쓰기를 ‘덜’ 해서 문제 (따라서 길이에 비해 띄어쓰기가 많다면 올바를 확률이 높음)
  • 미등록단어가 무지하게 많음(사전 기반일 경우 난관 예상, 사용 시 사전 추가 자동화 필요)
  • 글자의 앞글자와 뒷글자를 보고 해당 글자 뒤에 띄어쓰기를 해야 할 지 예측하는 분류 문제

트레이닝 셋 구성

띄어쓰기를 덜해서 문제가 생긴다는 것에 착안하여 전체 데이터 중 문장의 길이 대비 띄어쓰기의 갯수가 많은 상위 X% 데이터를(기준점은 수동으로 체크) 분석 데이터로 사용합니다. 여기에 띄어쓰기가 0개인 데이터를 추가합니다. 이 데이터를 통해 한 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단답 문장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분석 데이터 중 10%를 성능 평가용 Test set으로, 나머지를 학습용 Train set으로 사용합니다. 성능 평가는 띄어쓰기를 없앤 set으로 띄어쓰기를 예측한 값과 원본을 비교하여 confusion matrix를 만듭니다.

모델링

띄어쓰기에 대한 접근은 여러가지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어장을 만들며 직접 counting을 하거나,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에서 사용하는 Conv1D layer를 사용하여 N-gram을 자동화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soyspacing에서 제안한 카운팅 기반의 방법이 효과적으로 띄어쓰기를 하는데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모델에서는 각 글자 뒤에 띄어쓰기가 나올 확률을 구해야 하기 때문에, 글자 수 만큼 y 값(종속 변수)이 존재합니다.

아주 간단한 코드로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 from pprint import pprint
>>>
>>> S = '야자 안 했어. 밥 먹자 밥'
>>> S += ' '
>>>
>>> C = defaultdict(lambda: defaultdict(int))
>>> scope = 0
>>>
>>> for idx, val in enumerate(S):
...     chunk = S[idx-scope:idx+scope+1]
...     if chunk == ' ':
...         pass
...     if chunk not in C:
...         C[chunk][0] = 0
...         C[chunk][1] = 0
...     try:
...         if S[S.index(chunk, idx-scope) + scope + 1] == ' ':
...             C[chunk][1] += 1
...         else:
...             C[chunk][0] += 1
...     except:
...         pass
...
>>> pprint(C)
defaultdict(<function <lambda> at 0x7f844c3429d8>,
            {' ': defaultdict(<class 'int'>, {0: 5, 1: 0}),
             '.': defaultdict(<class 'int'>, {0: 0, 1: 1}),
             '': defaultdict(<class 'int'>, {0: 1, 1: 0}),
             '': defaultdict(<class 'int'>, {0: 0, 1: 2}),
             '': defaultdict(<class 'int'>, {0: 0, 1: 1}),
             '': defaultdict(<class 'int'>, {0: 1, 1: 0}),
             '': defaultdict(<class 'int'>, {0: 1, 1: 0}),
             '': defaultdict(<class 'int'>, {0: 0, 1: 2}),
             '': defaultdict(<class 'int'>, {0: 1, 1: 0})})

여기에서 slicing을 조절하여 문장을 L, C, R로 구분 (L: 해당 글자+앞 부분, C: 전체 스코프, R: 해당 글자+뒷부분)해서 각각 뒤에 띄어쓰기가 오는지에 대한 여부를 카운트합니다.

띄어쓰기 점수는 띄어쓰기가 나온 횟수 / (띄어쓰기가 나온 횟수 + 띄어쓰기가 안 나온 횟수) 로 계산하면 0과 1사이의 값이 나오게 되는데, threshold를 조절하여 적정한 값을 찾도록 합니다. threshold 값을 통해 precision과 recall 중 어느 쪽에 비중을 둘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soyspacing에서는 L, C, R의 띄어쓰기 점수에 따라 몇 가지 규칙을 두어 해당 단어 위치에 대한 최종 띄어쓰기 점수를 결정합니다. 여기서 제 생각을 조금 덧붙이자면, 판별에 사용할 문자열 길이(scope)와 함께 L, C, R 점수의 관계를 신경망을 이용하여 학습시키면 더 나은 결과가 나올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그러면 신경망은

  1. 적절한 scope 길이에 대한 학습을 하여, 주어진 counting 방법에 따라 L, C, R 점수를 계산한 뒤,
  2. 오차를 최소화하는 L, C, R 간의 적절한 최적 관계를 만들기 위해 학습할 것입니다.

따라서 최적 scope 길이와 함께 L, C, R 간의 관계를 규칙 기반이 아닌 방식으로 찾게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계

학습 데이터의 띄어쓰기가 올바르지 않을 경우, 학습이 잘못된 방향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또한, 띄어쓰기 모델의 존재 이유는 더 좋은 분석 결과를 위한 전처리인데, 신경망까지 사용하게 된다면 비용이 과다하게 드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references

  • github.com/lovit/soyspacing
  • freesearch.pe.kr/archives/4759
  • kiise.or.kr/e_journal/2015/1/JOK/pdf/08.pdf

Tags:

Updated:

Leave a comment